본문 바로가기
당신의 건강은 안녕하신가요?

허준 동의보감 , 친절한 한글 번역 - 눈 편

by Doctor J 2022. 7. 9.
반응형

한의학에서 눈은 간과 통하는 구머이며, 오장의 정기가 모이는 곳으로 인식합니다.

오장의 정명이 모두 눈에 모이기 때문에 눈을 통해 사물을 볼 수있다고 생각한것입니다.

또한 눈은 의학적으로 두가지 의미를 지닙니다. 하나는 눈 자체에 생긴 이상이 문제가 되는 경우이고,

하나는 몸의 다른 부위에 생긴 이상이 눈을 통해 표현되는 경우입니다. 눈이 사물을 볼 수 있는 이치를

간단하게 설명한 후, 위의 두가지 경우를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여 자세하게 다룹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눈을 중시합니다. 왜냐하면 오장육부의 정기가 모두 눈을 통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달리 말해 정기가 모여서

눈을 이루므로 눈을 통해 사물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기의 총체인 눈에 동의보감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뼈의 정기는 눈동자가 되고, 힘줄의 정기는 검은 자위가 된다. 혈의 정기는 핏줄이고 기의 정기는 희자위가 된다. 눈에는

오장육부의 정기가 모인다. 눈은 영위와 혼백이 늘 드나들고 신과 기가 생겨나는 곳이다. 눈은 심장의 지시를 받는데

심장은 정신이 들어 있는 곳이다."

이렇듯 눈은 온 몸의 정기가 다 모이는 곳이며 정신과 마음에 깊이 관련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신과

정기가 혼란되어 잘 돌아가지 못하면 갑자기 이상한 것이 보이고

정신과 혼백이 서로 어울리지 못하면 미혹된 것이 보입니다. 눈의 정기는 비장의 작용과 밀접하게 관련 있습니다.

왜냐하면 오장과 육부,12경맥,365락의 혈기를 모두 비장에서 받아 위로 올려보내 눈을 밝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장이 허하면 오장의 정기가 눈으로 올라가지 못하여 눈이 밝지 못하게 됩니다. 한편,

눈은 온 몸의 정기가 모이는 곳으로, 그 부위에 따라 오장육부의 기가 각각 다르게 표출됩니다.

이를 오륜지도와 팔곽지도 등 두가지 그림을 그려 설명 합니다. 오륜지도는 눈 바깥 부위부터 안쪽으로 다섯 층으로

깊어지는 것을 그린 것이며, 팔곽 지도는 그것을 다시 평면으로 펼쳐 여덟부위로 나눈 그림을 말합니다. 오륜지도는 오행과

관련되며, 팔곽지도는 주역의 8괘와 연관됩니다. 

 

한의학에서는 눈이 여러 장부 가운데서도 특히 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간의 작용 때문에 사물을 볼 수 있다고 봅니다.

동의보감에서도 눈은 간의 상태가 나타나는 구멍이라고 표현하면서 눈과 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람이 누우면 혈이 간으로 들어가는데 간이 혈을 받아야 눈이 볼수있습니다. 또한 간의 기운은

눈으로 통하므로 간이 조화로운 상태에 있어야 다섯까지 색깔을 잘 분별해 볼 수 있고 간의기운이 조화로운 상태에 있지

않으면 눈이 어두워 집니다. 간이 허하면 눈이 침침해지면서 잘 보이지 않습니다. 

눈과 간이 직접 연결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머지 장기가 눈과 간련 없는 것은 아닙니다.

눈이 침침해지는 것을 동의보감에서는 간 기운과 신 기운의 상생관계를 근거로,간과 신의 기가 부족하면 눈이

침침해지고 어지러워 진다고 말합니다.

심장 또한 간과 함게 눈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혈을 주관하는 심장과 혈을 저장하는 간이

간직한 열 때문에 생긴 눈병에서는 간과 심장의 열을 함께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장과 간의 혈이 간직한 열은

눈병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눈병에는 한증이 없으며 모두 화 기 운때문에 생긴다고 봅니다.

그래서 눈의 흰자위가 벌겋게 되는 것은 화가 패의 기운을 누르기 때문이며, 눈두덩이 벌겋게 붓는 것은 화가 비의 기운을

억누르기 때무니고, 검은자위와 눈동자에 예막이 가리운 것은 화가 간과 신이 기운을 억누르기 때문이며 벌건 

핏줄이 눈알을 지나가는 것은 화가 저절로 심해져서 그런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눈병을 일으키므로 조심해야하는 것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다섯 가지 매운것을 먹는것 

2.뜨거운 음식만 먹는것

3.머리에 침을 놓아 피를 많이 빼는 것

4.애써 먼 곳만 보는 것

5.밤에 잔 글자를 보는 것

6.연기가 나는 곳에 오랫동안 있는 것

7.장기나 바둑을 쉬지 않고 두는 것

8.밤에 오랫동안 글을 읽는 것

9.술을 한정 없이 마시는 것

10.국수를 뜨겁게 하여 먹는것

11.잔 글자를 여러 해 동안 쓰는 것

12.정밀한 조각을 하는 것

13.눈물을 지나치게 흘리는 것

14.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는 것

15.해와 달을 자주 쳐다보는 것

16.달빛 아래에서 책을 읽는 것

17.밤에 달과 별을 보는것

18.볼 수 있는 데 까지 산천초목을 오랫동안 보는것

19.말을 타고 다리면서 사냥하는 것

20.찬바람과 서리를 맞는 것

 

눈병을 내장과 외장,예막,안화,눈의 통증, 눈이 잘보이지 않는 증상,

늙은이의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 근시와 원시, 눈을 뜨지 못하는 것과 감지 못하는 것,

눈곱이 나오는 것,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이는 착시,책을 많이 읽어서 눈을 해친 것,

지나치게 울어서 눈이 보이지 않는 것 등으로 나누어 봅니다. 특히 내장과 외장, 예막은 

매우 상세합니다. 

내장은 눈의 검은자위 속에 예막이 생겨 가려지므로 눈동자가 흐려져서 보지 못하며

눈동자 속에 청백색이 은은히 나타나는 증상이빈다 흔히 말하는 백내장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내장은 혈이 부족하고 정신이 피로하며 신이 허해서 생깁니다. 따라서 내장은 혈을 자양하고

신을 보하며 정신을 안정시켜 조화되게 하여야 좋아집니다. 내장에는 보간산 등을 씁니다.

내장은 예막의 양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뉩니다. 

외장은 안구의 앞면에 가리는 것이 있어서 보지 못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눈에선 붉은 핏줄이 위에서 부터 내려오는지,아래로 부터 올라가는지,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는지에 따라서 각기 태양경병,양명경병,소양경병으로 나누며 그에 따라 치료법도 달라집니다.

외장 또한 내장의 경우처럼 증상과 원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