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의 동의보감 탕약편 -약의 세계중 곡부 부분입니다. 곡부는 낱알의 곡식입니다.
하늘과 땅 사이에서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곡식입니다. 곡식은 흙의 덕을 받았기 때문에
치우치는 성질이 없이 고르므로 맛이 심해지면서 답니다. 또한 성질이 평하면서 고르며 보하는 것이 세고 배설이
잘 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어도 싫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대단히 좋습니다. 동의보감의 이 말은
물 다음에 곡식을 배치한 이유를 말합니다. 곡식과 관련된 약재로 동의보감은 모두 107가지를 듭니다. 여기에는
이른바 5곡인 벼 8곡인 참깨 등과 밀 등이 포함됩니다. 이 밖에도 곡식으로 빛은 누룩 등을 덧붙입니다. 멥쌀은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면서 쓰고 독이 없습니다. 멥쌀이라는 갱자에 굳다는 뜻이 들어있는데 이는 찹쌀보다 굳기 때문입니다. 밥이나 죽을 만들어 먹는데 약간만 설익어도 비장에 좋지 못합니다.
늦벼 쌀이 더 좋습니다. 멥쌀은 위기를 고르게 하고 살찌게 하며 손을 데우고 이질을 멎게 합니다.
또 기를 보하고 답답한 것을 없애줍니다. 찹쌀은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면서 쓰고 독이 없습니다. 찹쌀이라는 글자는 연할 연
자에서 땄는데 그것은 쌀이 차분차분하고 풀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찹쌀은 중초를 보하고 기를 생기게 하며 곽란을 멎게 합니다
오랫동안 먹으면 몸이 약해집니다. 또 고양이나 개가 먹어도 다리가 굽어 잘 다니지 못하게 됩니다. 찰 볏짚은 황달 치료합니다.
청량미 털이 있고 벼알이 퍼렇습니다. 다른 음식에 비하여 비위를 보호하는데 탁월합니다. 미숫가루도 만들어 양식으로 하면 다른 곡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습니다. 황양미는 생동찰보다 더 좋습니다. 땅에서 고른 기운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기를 보하고 중초를 조화시켜 설사를 멎게 합니다. 백량미 또한 황량이 보다 못하지만 열을 내리고 기를 보하는 작용을 합니다.
묵은쌀은 진창 미를 말합니다. 쌀이나 좁쌀을 3~5년 정도 오래 묵히면 냄새와 맛이 다 변합니다. 묵은쌀은 답답한 것을 없애고 위를 조화 식히고 설사를 멎게 하며 오장을 보하고 장위를 수렴하는 효과를 보입니다. 끓여 먹는 것이 좋습니다. 절굿공이에 묻은 겨도 약으로 씁니다.
성질이 평합니다. 갑자기 목이 막혀 음식이 넘어가지 않는 것과 반위로 음식이 내리지 않을 때엗호 좋습니다. 이는 절굿공이로 내리찧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기장쌀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답니다. 좁쌀과 비슷하나 좁쌀은 아닙니다. 기장쌀은 기를 돕고 중초를 보합니다.
하지만 독이 약간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먹으면 안 됩니다. 오장의 기능에 장애를 일으켜 잠을 많이 자게 합니다.
붉은 기장쌀은 맛이 씁니다. 기침하면서 기운이 치미는 것과 곽란을 치료하는 데 씁니다. 찰기장쌀은 대장을 순조롭게 하고 옻이 올라서 한 것을 치료하고 옴으로 생긴 독과 열을 없앱니다. 그렇지만 오장의 기운이 막히게 하고 풍을 동하게 하기 때문에 늘 먹어서는 안 됩니다.
선가에게서는 찰기장쌀을 귀하게 여겨 술의 재료로 사용하는데, 그 효과가 여러 쌀 들 가운데 가장 좋습니다. 피살은 가장 비슷하나 알이 잡니다.
성질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습니다. 8곡 가운데서 가장 좋지 않습니다. 피살은 열을 치료합니다. 기를 돕고 부족한 것을 보합니다.
피살로도 밥을 지을 수 있으나 차지 않고 맛이 심심합니다. 돌피 쌀은 밥을 지을 수 있어서 흉년 때 먹습니다. 보리는 성질이 따뜻하며 맛이 짜고 독이 없습니다. 밀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대맥이라 부릅니다. 기를 돕고 중초를 조화시키며 설사를 멎게 하고 허한 것으로 보합니다.
또 오장을 튼튼히 하고 오랫동안 먹으면 살이 찌고 건강해지며 몸이 윤택해집니다. 몸을 데우는데 오곡 가운데 으뜸입니다. 잘 익혀 먹으면 사람에게 이롭지만 조금만 설어도 성질이 차게 되므로 사람을 상하게 합니다. 가을에 심은 것이 좋고 봄에 심은 것은 약 기운이 부족하기 때문에 효과가 작습니다. 겉보리는 보리를 껍질째 부르는 이름입니다. 약성은 약간 차고 맛이 달며 독이 없습니다. 몸을 가벼워지게 하고 비위를 보하며 열을 없애고 병이 생기지 않게 합니다. 오랫동안 먹으면 힘이 세지고 건강해집니다. 쌀보리 성질과 맛이 보리쌀과 똑같습니다.
보리쌀 가루는 위를 편안하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음식을 잘 소화합니다. 떡을 만들어 먹으면 기를 등을 하지 않게 합니다.
보리 길 금은 소화가 잘되게 합니다. 오랜 체중을 없애고 명치끝이 물오르면서 그득한 것을 치료하며 속을 따듯하게 하고 기를 내립니다.
해산을 빨리하게 하고 유산을 합니다. 많이 먹으면 신장의 기운이 많이 소모되므로 좋지 않습니다. 콩은 성질이 평하고 독이 없습니다.
오장을 보호하고 중초와 12 경맥을 좋게 하고 장위를 따뜻하게 합니다. 콩에는 검은 것과 흰 것 두 가지가 있는데 검은 것만 약으로 쓰고 흰 것은 오직 식용으로만 씁니다. 쥐눈이콩은 검은 수콜을 말합니다. 이는 신과 관련되므로 신장병 때 좋습니다. 콩가루는 위 속에 열이 있거나 소화가 잘 안될 때 씁니다
또한 비중 때도 좋습니다. 통길 금은 생콩으로 기른 길 금을 말합니다. 오랜 풍습 비로 힘줄이 켕기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오장이나 위 속에 몰린 정취에도 좋습니다. 까치콩은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습니다. 콩과 마찬가지로 중초를 조화시킵니다.
또한 기를 내리면서 곽란 등에 좋습니다. 또한 여러 풀과 나무의 독 독을 푸는 데에도 씁니다.
까치콩잎은 곽란 이외에 뱀이나 벌레에게 물린 데 붙이기도 합니다. 까치콩잎은 부인의 대하증에 씁니다.
'당신의 건강은 안녕하신가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준의 동의보감 , 친절한 한글번역 비장편 -기와 혈을 만드는곳 (0) | 2022.07.22 |
---|---|
허준 동의보감 친절한 한글 번역편 - 황달 몸이 누렇게 뜨는 병 (0) | 2022.07.19 |
허준의 동의보감 친절한 한글번역 옆구리 - 간과 담이 드러나는 곳 (0) | 2022.07.17 |
허준의 동의보감, 친절한 한글 번역 내상 -속이 상한 병 편 (0) | 2022.07.16 |
허준의 동의보감 친절한 한글번역 - 오장육부편 (0) | 2022.07.13 |
댓글